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6년 최저임금 얼마? 실시간 협상 현황과 월급 계산법 완벽 정리


     

     

     

     

     

     

     

     

     

     

     

    1. 2026년 최저임금 협상 현황 (실시간 업데이트)

    1) 현재 상황 한눈에 보기

    최저임금위원회 제10차 전원회의 (사진 출처: 이데일리)

     

    📅 최신 업데이트: 2025년 7월 1일 기준

    2026년 최저임금을 두고 노동계와 사용자계의 협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제8차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양측이 4차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1,150원의 큰 격차를 보이고 있어 합의점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노사 요구안 현황

    구분  요구  금액  인상률  2025년  대비
    노동계 11,260원 +12.3% +1,230원
    사용자계 10,110원 +0.8% +80원
    격차 1,150원 11.5%p -

    ⚠️ 법정 시한 초과, 이제 어떻게 될까?

    최저임금위원회는 원래 6월 29일까지 심의를 완료해야 했지만, 이미 법정 시한을 넘긴 상태입니다.

    남은 절차:

    • 7월 3일(금) 제9차 회의에서 5차 수정안 제시 예정
    • 공익위원의 '심의촉진구간 제시 + 표결' 방식으로 최종 결정
    • 8월 5일까지 반드시 고시 완료

    2. 2025년 vs 2026년 최저임금 완벽 비교

    2025년 현행 최저임금

    구분  금액  비고
    시급 10,030원 전년 대비 +170원
    일급 80,240원 8시간 기준
    월급 2,096,270원 주휴수당 포함

     

    2011-2025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2011-2025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출처: 최저임금위원회)

     

    2026년 예상 최저임금 시나리오

    시나리오 1: 노동계 요구안 반영 시 (11,260원)

    • 월급: 약 2,363,680원 (현재 대비 +267,410원)
    • 연봉: 약 2,836만원

    시나리오 2: 사용자계 요구안 반영 시 (10,110원)

    • 월급: 약 2,119,080원 (현재 대비 +22,810원)
    • 연봉: 약 2,543만원

    3. 최저임금 월급 계산기

     

     

     

     

     

     

     

     

    정확한 월급 계산 방법

    기본 계산식:

    월급 = (시급 × 주 근무시간 × 52주 + 주휴수당) ÷ 12개월
    

    주휴수당 계산:

    • 주 40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 = 시급 × 8시간

    근무 유형별 월급 계산

    정규직 (주 40시간)

    • 현재(10,030원): 2,096,270원
    • 노동계안(11,260원): 2,363,680원
    • 사용자계안(10,110원): 2,119,080원

    아르바이트 (주 20시간)

    • 현재: 868,640원
    • 노동계안: 976,160원
    • 사용자계안: 876,320원

    4. 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가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근로자 입장

    긍정적 효과:

    • 월 소득 최대 26만원 증가 (노동계안 기준)
    • 가처분소득 증가로 소비여력 확대
    • 생활 안정성 향상

    주의사항:

    •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소득 변화 고려 필요

    소상공인·자영업자 입장

    부담 요소:

    • 인건비 부담 증가 (월 최대 26만원/직원)
    • 운영비 상승으로 가격 조정 압박
    • 고용 규모 축소 가능성

    💼 고용시장 변화 전망

    청년·아르바이트 시장

    • 시급 상승으로 근로조건 개선
    • 단, 일부 업종에서 채용 감소 우려
    • 자동화 도입 가속화 가능성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일자리 감소
    최저임금과 실업률 관계 (출처: 연합뉴스)

    업종별 영향도

    업종  영향도 예상 변화
    서비스업 높음 가격 인상, 운영시간 조정
    제조업 중간 자동화 투자 확대
    IT업계 낮음 최저임금 의존도 낮음

     

    2025년 최저임금 업종별 구분 적용 표결 결과
    2025년 최저임금 업종별 구분 적용 표결 결과 (출처: 연합뉴스)

     


    5. 향후 일정과 전망

    주요 일정

    • 7월 3일(금): 제9차 최저임금위원회 개최
    • 7월 중: 공익위원 심의촉진구간 제시
    • 8월 5일: 최종 고시 마감

    전문가 전망

    합의 가능성:

    • 현재 격차(1,150원) 고려 시 10,500~10,800원 선에서 타협 예상
    • 경제상황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절충안 도출 가능성

    결정 요인:

    1.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
    2. 소상공인 부담 능력
    3. 근로자 생계비 상승분

    2026년 최저임금 예상 시나리오

    • 보수적 전망: 10,300~10,500원 (3~5% 인상)
    • 적극적 전망: 10,600~10,800원 (6~8% 인상)

    6. 최저임금 관련 유용한 사이트


    이 글은 2025년 7월 기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